답 1. BIM 정의 및 현황
1) 정의
- BIM 이라 함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를 포함하여 지칭(국토해양부, 2010)
2) 현황
- 최근 몇 년 사이 새로운 건설 패러다임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3D 기반의 정보 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기술은 이제 고려 해야 할 대상이 아닌 필수로 인식
- BIM은 초기 개념설계에서 유지관리 단계에까지 프로젝트의 전 수명주기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모든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기술
- 개념적으로 BIM은 건물의 생애 주기 동안 사용되는 기술 혹은 프로세스로 정의되고 있는 반면에 현업에서는 BIM의 활용성이 설계와 시공 단계, 그리고 건축물 위주로 제한
답 2. 하수처리시설의 유지관리 문제점
1) 2차원 CAD 도면의 한계
-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한 구조적 변경이나 시스템상의 변경이 CAD도면에는 반영되지 않아 유지관리 담당자간에도 애로사항이 발생
- 2D CAD 도면은 유지관리 실무자 이외의 타 부서 직원이나 감사기관, 보수업체 등이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일이 발생
2) 분산된 정보, 분산된 시스템
- 운영권이 위탁기관으로 인계되거나 유지관리 실무자의 변경으로 업무가 인계될 시 시설의 유지관리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화 되어 있지 않거나 분산되어 있어 유지관리 정보를 일일이 재 수집해야함
3) 유지관리 정보 입력 기준 및 지침 부재
- 발주처에게 전달된 모든 정보가 2차원 또는 종이로 되어있기 때문에, 발주처는 시설물 관리자에게 관련정보를 찾아 전달하는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그 과정은 시간낭비가 심하고, 실수가 발생하기 쉽다
답 3. 하수도 BIM 적용을 통한 유지관리 문제점 해결
구분 | 문제점 | 해결책 |
운영단계 이전 |
기자재에 대한 DB 부재 | 설계 및 시공 BIM 모델링 및 자동 데이터 이송체계를 통한 자산 DB 구축 간 제로화 |
빈번한 운영 주체 변경에 따른 과거 이력정보의 비 전산화 및 객체와의 연결 미비 |
이력정보와 BIM 객체 간의 연계 구축 | |
운영단계 중 | 객체와 유지관리 이력의 미연계 | 객체별 유지관리 이력 축적 |
수선계획서 작성시 정보의 분산화로 업무량, 업무시간 증가 |
기자재,구조물 등의 위치정보, 이력정보, 설비 시스템의 연결 정보 등을 신속하게 조회, 확인 | |
인수인계 단계 |
신속한 현황 파악의 어려움 | BIM 모델과 DB |
정확한 자산평가에 장시간 소요및 객관성 결여 | 신속한 자산평가(예산산정)가능 |
[내용 출처 : 국내논문, BIM 기반 하수처리시설 유지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2013, 엄동용, 동아대학교]
아래는 심심할 때 읽어 보세요. 저의 기술사 합격 경험담 및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 소개 입니다.
그리고 개인 홈페이지 입니다. 의견도 올려주시면 내용 반영해서 블로그 및 홈페이지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모두들 열공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상하수도 118회 2교시 문제 1. 활성탄의 재생설비와 이화학적 재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2.01.17 |
---|---|
상하수도 118회 1교시 문제 13. 공공하수도 기술진단 개선계획에 포함될 사항 (0) | 2022.01.16 |
상하수도 118회 1교시 문제 11. ASBR(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0) | 2022.01.15 |
상하수도 118회 1교시 문제 10. ATP(Adenosine Triphosphate) (0) | 2022.01.14 |
조류경보제와 수질예보제의 대상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