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폐수처리에 사용되는 반응기의 주된 형태는 회분 반응기, 압출류형 반응조(PFR, 플러그 흐름 반응기), 완전혼합 반응조(CFSTR, 연속 흐름 교반탱크 반응기), 임의흐름 반응기, 충전층 반응기, 유동층 반응기 등
- 수력학적 특성에 의해 분류할 때 상기 앞의 4가지 반응기는 균일 반응을 위해 사용하며, 불균일 반응은 일반적으로 뒤의 2가지 반응기에서 진행
- 아주 긴 장방형 탱크는 실제에 있어서는 이상적 플러그 흐름 반응기로 가정
→ 탱크의 길이가 180m를 넘는 경우도 있으며, 탱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탱크를 뱀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이 보통임
- 원형 및 장방형 탱크는 연속 흐름 교반 반응기로 봄
답 2. 기본 반응기 및 생물막 반응조의 종류, 배열형태, 용도
반응기의 종류 | 그림 | 설명 또는 응용 |
회분 반응기 | 반응기의 도입 및 배출 흐름 없음 액상 내용물은 완전 혼합 BOD 시험은 병으로 만든 회분 반응기에서 실시 SBR에 적용 |
|
압출류형 반응조 PFR - 플러그흐름반응기 - 관형 흐름 반응기 |
유체 입자는 도입 순서로 탱크를 거쳐 흘러서 배출 유체입자는 이론적 체류시간과 같은 시간동안 탱크 안에 체류 이러한 형태의 흐름은 길이 대 폭의 비가 큰 긴 탱크에서 볼 수 있으며, 길이방향에서의 분산은 최소이거나 없음 |
|
완전혼합반응조 CFSTR - 연속흐름교반탱크반응기 |
입자가 탱크 안에 도입되면 즉시 반응기 전체에서 분산되어 완전 혼합 입자는 통계적 모집단에 비례하여 반응기에서 배출 원형 또는 장방형 탱크에서 내용물을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재분산 시 완전혼합 가능 일반적인 수처리 미생물 폭기조의 형태 |
|
임의 흐름 반응기 | 플러그 흐름과 완전 혼합 사이의 임의의 부분 혼합이 이루어지는 혼합 | |
충전층 반응기 (생물막 반응조) |
충전층 반응기 자갈, 슬랙, 도자기, 플라스틱 같은 충전매체를 채운 것 흐름 : 완전히 채움(혐기성 여상), 간헐적 공급(살수여상) 탈질여상에 적용 · 전형적인 후탈질 공정으로 3차 처리공정으로 분류 · 영양소 제거공정의 2차 처리수를 추가 처리할 수 있는 운전 유연성 · 일부 미처리된 질산성 질소의 추가처리나 처리수내 SS 제거 · 탈질과 여과공정을 혼합한 형태로 처리수의 재이용으로 사용 가능 |
|
유동층 반응기 (생물막 반응조) |
유동층 반응기는 충전층 반응기와 비슷하나, 충전 매체가 유체의 상향 흐름에 의해 층 전체에 팽창 충전 공극율은 유량 조절하여 변화 가능 현수미생물막법에 적용 · 활성슬러지법의 변법으로, 인조섬유를 넥타이 모양으로 길게 연결하여 폭기조에 넣은 상태 → 벌킹 문제 없으며 유지관리 용이 · 오랜 시간 미생물이 섬유막에 붙어있어, 오래된 부분은 혐기성 → 악취 문제 발생 |
아래는 심심할 때 읽어 보세요. 저의 기술사 합격 경험담 및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 소개 입니다.
1. 합격수기_1차(필기)
2. 합격수기_2차(면접)
3. 공부법_공통
4. 공부법_기술사편
6. 기술사 자격 활용법
그리고 개인 홈페이지 입니다. 의견도 올려주시면 내용 반영해서 블로그 및 홈페이지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모두들 열공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13. 집수매거 (0) | 2022.07.20 |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12. A/S비 (0) | 2022.07.19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10. SRT, 유기물부하, 미생물농도 (0) | 2022.07.17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9. 유량조정조 용량결정 (0) | 2022.07.16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8. Breakthrough Curve(파과곡선)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