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순환식 질산화 탈질법 처리계통도
1) 공정개요
- 반응조를 무산소(탈질)조, 호기(질산화)조로 배열하여 유입수 및 반송슬러지를 무산소조에 유입시키고, 한편으로는 연속되는 호기반응조의 질산화 혼합액의 일부를 무산소반응조에 순환시켜 처리하는 방법
2) 처리특성
- 일반 도시하수의 경우, 유입수(일차침전지 유출수)에 대해 총질소(T-N)제거율은 연 평균 60~70%이며, 동시에 표준활성슬러지법과 비교해서 BOD, SS 제거율도 높은 편임
답 2. 질산화 내생 탈질법 처리계통도
1) 공정개요
- 질산화 공정이후 탈질공정을 배치하여 탈질반응에 필요한 수소공여체로서 활성슬러지에 흡착되어 세포내에 축적된 유기물 이용. 따라서 탈질반응에 필요한 유기물을 외부로부터 첨가하지 않으며 질산화액의 순환도 없음
2) 처리특성
(1) 호기반응조에서 질산화된 질소의 전량을 후단의 무산소반응조에서 탈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질소제거 가능
(2) 반면 탈질반응의 수소공여체로서 활성슬러지 세포내에 축적된 유기물 이용하기 때문에 탈질속도 느리고 큰 무산소반응조 필요
(3) 유입수 수질에 따라 질산화에 의한 알칼리도 저하를 보충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 첨가
(4) 일반적인 도시하수의 경우 T-N 제거율은 70~90%, 처리수 총질소 농도 5mg/L 이하 가능
답 3. 비교 설명
비교 | 순환식 질산화 탈질법 | 질산화 내생 탈질법 |
탈질 공정배치 | 전탈질 | 후탈질 |
수소 공여체 | 유입하수 중 유기물 | 활성슬러지 된 세포내 축적 유기물 |
1차 침전지 | 설치 | 생략 |
재폭기조 | 미설치 | 설치 |
내부순환 | 필요 → 동력비 소요 | 불필요 → 유지관리비 저렴 |
질소제거율 | 60~70% | 70~90%(높은 질소제거율) |
반응조 용량 | 활성슬러지보다 큼 | MLE보다 1.2 ~ 1.3배 |
아래는 심심할 때 읽어 보세요. 저의 기술사 합격 경험담 및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 소개 입니다.
1. 합격수기_1차(필기)
2. 합격수기_2차(면접)
3. 공부법_공통
4. 공부법_기술사편
6. 기술사 자격 활용법
그리고 개인 홈페이지 입니다. 의견도 올려주시면 내용 반영해서 블로그 및 홈페이지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모두들 열공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