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먹는 물(마시는 물)의 정의
- 먹는 물이란 먹는 데에 통상 사용하는 자연 상태의 물이나 자연 상태의 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처리한 수돗물, 먹는 샘물, 먹는염 지하수, 먹는 해양심층수 등을 말하며, 정수기의 경우도 먹는 물로 취급
답 2. 물 관련 법에서 제시된 먹는 물(마시는 물)의 종류
1) 수돗물
- 하천, 지하수, 해수 등을 취수시설, 정수시설 및 급수설비 등의 수도시설을 이용하여 정수처리한 후 일반 가정 등에 공급하는 물
2) 먹는 샘물
- 암반대수층 안의 지하수 또는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깨끗한 물
- 먹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원수인 샘물을 먹기 적합하도록 처리, 제조한 물
3) 먹는 염 지하수
- 염 지하수란 물 속에 녹아있는 염분 등의 함량이 2,000mg/L 이상인 암반 대수층 안의 지하수로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물
- 먹는 염 지하수는 염 지하수를 먹기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제조한 물
4) 먹는 해양 심층수
- 해양 심층수를 먹는 데 적합하도록 물리적인 처리 등의 방법을 거쳐 제조한 물
5) 생수
- 생수란 법적인 용어는 아니지만 먹는 샘물, 먹는 염 지하수, 먹는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용어
답 3. 먹는물 수질 기준
- 먹는 물 수질기준은 역치의 개념으로 그 숫자를 초과하는 경우, 위해 요인에 노출될 수 있다는 의미지만 기준을 초과한다고 하더라도 곧바로 질병을 유발한다고 할 수 없음
- 또한 질환의 발병 위험도가 오염물질량에 비례한다고 할 수 없음
- 수질기준 : 체중 70kg의 성인이 해당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함유된 물을 매일 2리터씩 60년간 마시는 경우, 그 들 100만명 중 1명에게서 해당 물질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위험률을 기준
수질관리 123회 1교시 문제 13. 상수도 수원용 저수시설 유효저수량 산정 방법 (0) | 2021.08.23 |
---|---|
수질관리 123회 1교시 문제 12. 콜로이드의 전기 이중층과 약품교반시험(Jar-test) 절차 (0) | 2021.08.23 |
수질관리 123회 1교시 문제 10. 물벼룩 생태독성 시험에서 치사, 유영저해, 반수영향 농도, 생태독성 값의 정의 (0) | 2021.08.20 |
수질관리 123회 1교시 문제 9. 해양수질기준에서 수질평가지수(WQI, Water Quality Index) (0) | 2021.08.20 |
수질관리 123회 1교시 문제 8. 도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의 유형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