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상수도용 밸브의 필요성
- 상수관로에는 물의 통제, 관의 안전, 경제적인 유지관리 운영과 그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해 밸브 및 부대시설 설치
- 상수관로 밸브 : 제수밸브, 공기밸브, 이토밸브, 역지밸브, 감압밸브, 배수밸브, 안전밸브 등
답 2. 차단용 밸브와 제어용 밸브
1) 차단용 밸브
-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으로 제수변(슬루스 밸브(또는 게이트밸브), 버터플라이밸브)이 해당
2) 제어용 밸브
- 좁은 의미 : 상수도의 수압이나 유량 제어(버터플라이밸브, 볼밸브)
- 넓은 의미 : 역류방지, 수충압방지, 배수 등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밸브
답 3. 상수도용 밸브의 종류와 용도
1) 제수밸브(Sluice Valve)
- 사고 시 관로의 일시적인 단수와 유량 조절
- 도 · 송수관의 시점, 종점, 분기점, 연락과 전후 부근에 설치
- 제수밸브 폐쇄를 통해 일정구역의 배수관, 급수관의 통수조절 및 배수계통 구분 가능
- 슬루스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볼밸브 등이 있음
2) 공기밸브(Air Valve)
- 관수로 내 분리된 공기는 관정부에 에어포켓(Air Pocket)을 형성하여 통수능을 저하시키므로, 공기밸브를 통해 자동적으로 배출시킴
- 배수관 등에서 통수 시, 관 내 공기배출과 부압인 경우 관 내에 공기를 흡입하여 관의 좌굴 (힘 받는 방향으로 직각으로 휨) 방지
- 급속 공기밸브, 일반 공기밸브, 쌍구형 공기밸브 등이 있음
3) 이토밸브(Drain Valve)
- 배수관, 송수관로의 낮은 곳에 배수구 겸용으로 설치
- 정체수 배제 시, 관 바닥의 모래 및 퇴적물 제거
- 이토밸브 설치 시, 배수로 확보 필요
4) 안전밸브(Safety Valve)
- 고가수조 아래, 제수밸브 상류, 가압펌프 상류 등 수격작용이 일어나기 쉬운 곳에 설치
- 평상 시는 스프링 등 의해 지수, 초과수압 발생 시 발생압력이 스프링 저항을 이겨 밸브가 열리면 물이 방류되면서 관 내 압력상승을 막아 관 파열 방지
5) 역지밸브(Check Valve)
- 물의 역류 방지
- 평상 시 유체방향의 수압으로 밸브를 열고 유하시키나, 하류의 수압이 높아지면 밸브가 자동적으로 닫혀 역류 방지
- 완폐형 체크밸브, 속도 조절형 볼밸브 등이 있음
6) 역류 방지밸브
- 배수관 등 1차측에 부압이나 역압이 발생했을 때 물의 역류 방지
- 급수기구로 크로스커넥션에 의한 물의 오염 방지
- 체크밸브는 펌프 등의 기기 보호가 목적, 역류 방지밸브는 역류에 의한 수질오염방지가 목적
7) 감압밸브
- 급수구역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 조정
- 배수 블록화 및 건물의 펌프 직송식 급수 시, 균등한 압력 공급 유지
상하수도기술사 114회 2교시 기출문제 3. 하수도 내진설계 (1) | 2022.11.11 |
---|---|
상하수도기술사 114회 2교시 기출문제 2. 배수설비 제해시설 (0) | 2022.11.10 |
상하수도기술사 114회 1교시 기출문제 13. MFI(Modified Fouling Index) (0) | 2022.10.26 |
상하수도기술사 114회 1교시 기출문제 11. 에너지 절약 전문기업(ESCO) (0) | 2022.10.21 |
상하수도기술사 114회 1교시 기출문제 10. 에너지 사용평가도구(EUAT, Energy Use Assessment Tool)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