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개요
- 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의 소화 가스량은 1차 슬러지의 경우, 1.0m3가스/(kg VS제거), 잉여슬러지는 0.75 m3가스/(kg VS제거)
- 이다. 소화가스의 성분은 소화상태에 따라 다르며(메탄 55 ~ 65%, 이산화탄소 25 ~ 35%)), 약 3 ~ 15배 정도의 공기가 혼입되면 폭발할 위험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소화가스 포집시설은 정압하에 유지
답 2. 시설 설치 시 고려사항
1) 소화가스의 포집은 슬러지의 소화상태, 슬러지의 유입, 소화슬러지 및 상징수의 제거에 따른 소화가스 발생량과 가스압의 변동 고려
- 슬러지의 소화상태, 슬러지의 유입, 소화슬러지의 제거 및 상징수의 배출 등에 따라 슬러지 소화조 내에서의 가스발생량 및 가스압이 현저히 변동
- 부압이 생기는 경우에는 소화조로 공기가 혼입되어 가스폭발 위험
→ 슬러지 소화조내의 가스압이 항상 100 ~300 mmHg 이상 유지되도록 배관계통 설계
2) 슬러지 소화조 지붕의 가스돔 및 가스포집관에 안전장치 설치
- 슬러지 소화조에서 가스를 채취하려면 슬러지 소화조의 중앙부에 가스돔을 설치하여 가스 포집관으로 가스를 포집, 계량
- 가스압력이 계속 변동하여 이상고압이 발생함으로써 소화조를 파괴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소화조 보호
3) 가스포집관은 내경 100~300 mm 정도
- 슬러지 소화조에서는 가스포집, 소화슬러지 및 상징수의 제거 등에 의하여 수위가 내려가며 이때 소화조내의 가스압이 부압이 될 경우가 있으므로 충분한 관경의 연결 관을 설치하여 부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
4) 탈황장치 설치
- 소화가스의 탈황은 황화수소의 부식성 및 연소 후의 영향을 고려해 50 ppm 정도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5) 하루에 발생하는 가스부피의 1/2 정도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가스 저장조 설치
6) 가스저장조의 구조는 관계법규에 준하여 설계
7) 잉여가스의 가스연소장치 준비
- 일반적으로 잉여가스 연소시설은 소화조의 지붕이나 가스저장조로부터 최소한 15 m 이격 및 눈에 잘 띄는 곳에 위치시킴
아래는 심심할 때 읽어 보세요. 저의 기술사 합격 경험담 및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 소개 입니다.
수질관리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수기 및 공부방법
매일 2~3시간 공부 기본서 준비 기출문제 위주로 답안 작성 저의 기술사 1차 필기시험 합격수기 입니다. 1....
blog.naver.com
수질관리기술사 최종면접 합격수기 및 공부방법
준 비 물 : 필기시험 문제풀이집 혹은 서브 노트 공부시간 : 매일 1시간 중요사항 : 1차 시험 지식수준 유...
blog.naver.com
책소개 : 나는 무조건 합격하는 공부만 한다.
지은이 : 이윤규 변호사 발행처 : (주)비즈니스북스 - 변호사이자 구독자 12만명의 유튜브를 운영 중인 공...
blog.naver.com
책소개 : 기술사 합격의 단축키
지은이 : 기구미(현보훈) 건축시공 기술사 펴낸 곳 : 바른북스 발행일 : 2020.09 - 2시간 투자로 1,000시간...
blog.naver.com
책소개 : 새벽 4시, 연봉 2억 프리랜서가 되는 시간
지은이 : 박춘성 기술사(항만 및 해안, 건설안전, 토목품질, 토목시공) 펴낸곳 : (주)북랩 발행일 : 2020년...
blog.naver.com
그리고 개인 홈페이지 입니다. 의견도 올려주시면 내용 반영해서 블로그 및 홈페이지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모두들 열공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상하수도 118회 4교시 문제 5. 활성슬러지법에서 독립영양미생물에 의한 질산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2.01.25 |
---|---|
상하수도 118회 4교시 문제 4. 공공하수도 하수관거 진단 대상에서 기술진단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2.01.24 |
상하수도 118회 4교시 문제 3. 하수 고도처리를 도입하는 이유와 제거대상 물질을 분류하고, 분류된 물질의 제거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2.01.24 |
상하수도 118회 4교시 문제 2. 분뇨처리시설에서 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처리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2.01.23 |
상하수도 118회 4교시 문제 1. 배수지의 유효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2.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