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부식 억제제 개요
- 부식 억제제는 수도관의 부식을 억제하여 수돗물에 녹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하는 물질임
- 부식 억제제의 기준과 규격은 환경부 수처리제 고시에 정의
- 부식 억제제의 주입방법으로는 정수장에서 주입하거나, 배․급수 계통의 배수지 및 수돗물 공급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아파트 및 빌딩의 저수조 전후에 주입
답 2. 부식 억제제의 주입
- 수돗물 공급과정에서 부식억제제를 주입할 경우는 적정 농도 유지를 위하여 철저한 공정관리가 요구되며, 관리가 부실할 경우 종종 과다투입과 같은 문제가 발생
- 반면 미국과 유럽에서는 상수도관의 재질, 수질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녹물의 저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인정되어 부식 억제제를 일부 정수장에서 투입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경우는 1991년 납 동 규제법(Lead & Copper Rule) 제정 후 그 사용량이 증가
- 정수장에서 부식억제제를 주입할 경우 위생적인 측면에서 매우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하며, 환경부의 고시에서 정하는 기준과 규격에 맞게 사용 필요
답 3. 인산염계 부식 억제제와 규산염계 부식 억제제의 특징
구분 | 인산염계 부식 억제제 | 규산염계 부식 억제제 | |
종류 | 정인산염, 다중인산염, 혼합인산염 | 규산염 | |
인체 유해성 | 과잉 섭취시 체내 칼슘 소모 등 | 과잉 섭취 시 결석(요석) 초래 등 | |
사용 기준 | P2O5 기준으로 국내 5 mg/L 이하 프랑스, EU, 일본 5 mg/L 이하 |
SiO2 기준으로 국내 10 mg/L 이하 프랑스, EU 10 mg/L 이하 일본 5 mg/L 이하 |
|
효과 | 부식속도 감소 및 중금속 용출 제어 | 고농도 주입 시 부식속도 감소 주철관에서 오히려 철용출 증가 동관, 아연도강관에서 효과 미미 |
|
적용 사례 |
국내 | 옥내급수관 부식방지를 위해 많은 저수조에서 인산 염계 부식억제제 사용 | 인산염계 부식억제제에 비해 미미한 실적 |
외국 | 미국의 경우 수돗물 중 납, 동 용출 방지를 위해 많은 정수장에서 주로 인산염계 부식 억제제 사용 |
문헌상으로 규산염계 부식억제제 사용 사례가 극히 적으며, 일부 지하수를 대상으로 적용한 사례 있으나 효과 미미 |
아래는 심심할 때 읽어 보세요. 저의 기술사 합격 경험담 및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 소개 입니다.
1. 합격수기_1차(필기)
2. 합격수기_2차(면접)
3. 공부법_공통
4. 공부법_기술사편
6. 기술사 자격 활용법
그리고 개인 홈페이지 입니다. 의견도 올려주시면 내용 반영해서 블로그 및 홈페이지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모두들 열공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7. 소독공정에서 log제거율과 %제거율의 관계 (0) | 2022.07.12 |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6. 스마트하수도 (0) | 2022.07.11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4. 상수관로 정밀조사 매뉴얼(환경부, ‘20)에 따른 상태평가 시행절차 (0) | 2022.07.08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3. 상수도 수질 안정성 확보대책 (0) | 2022.07.07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2. RDOC(Refractory Dissolved Organic Carbon)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