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개요
- 최근 수원의 오염 등으로 인해 정수장에서 생산되는 수돗물의 경우 바이러스, 병원성 동물 등에 의해 건강상 위해를 받을 기회 증가
- 따라서, 이와 같은 위해성 해결위해 탁도기준과 불활성비에 적합한 먹는물을 생산하기 위한 여과시설 및 소독시설의 적정운영 필요
- 즉 탁도기준(0.5NTU 이하)과 적정 C · T값을 유지할 필요성 증가
답 2. C · T값(소독능)
1) C · T값(소독능)의 정의
- 미생물을 목표만큼 사멸시키는 데 필요한 접촉시간과 농도의 곱은 일정 : 필요소독능
- CT = Const(C = mg/L, T = min), 여기서 C : 잔류염소농도, T : 접촉시간
2) CT값 산정
- C값 : 유출부(정수지)에서 소독제의 잔류농도(mg/L)
- T값(T10) : 정수지를 통과하는 물의 90%가 유출되는 시간
- 정수지 물의 90%는 T10 이상으로 접촉시간을 가지게 되므로 보수적인 설정
답 3. 불활성비
- 불활성비 > 1 : 미생물을 목표한 만큼 사멸시켰다는 의미
답 4. log 제거율과 % 제거율의 관계
1) log 제거율
- 정의 : log 제거율 = logx – logy, 여기서 x : 최초의 미생물수, y : 남아있는 미생물수
- 90% = log100- log10 = 1log
2) % 제거율과의 관계
답 5. 소독시설의 적정 운영 방안
1) 지아르디아, 크립토스포리디움의 경우, 염소소독에 대한 내성이 강하므로 여과효율 증대 필요
- 탁도 0.5NTU 이하 유지, 역세척후 Turbidity Spikes 발생 시 특히 탁도관리 유의
- 역세척 후 시동방수, 응집제 투입(역세척 종료 직전) 및 여과속도 제어 등을 통해 탁도 관리
2) C · T값 향상을 위한 대책
- 염소투입시설 개선, 도류벽 설치, 정수지 수위관리, 전염소 투입(DBPs 생성 고려), 소독제 농도 증가(DBPs 생성 고려), 소독방법의 개선, 정수지 청소 및 재염소 투입등의 방법으로 C · T값 향상 필요
아래는 심심할 때 읽어 보세요. 저의 기술사 합격 경험담 및 시험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 소개 입니다.
1. 합격수기_1차(필기)
2. 합격수기_2차(면접)
3. 공부법_공통
4. 공부법_기술사편
6. 기술사 자격 활용법
그리고 개인 홈페이지 입니다. 의견도 올려주시면 내용 반영해서 블로그 및 홈페이지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모두들 열공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9. 유량조정조 용량결정 (0) | 2022.07.16 |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8. Breakthrough Curve(파과곡선) (0) | 2022.07.15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6. 스마트하수도 (0) | 2022.07.11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5. 부식 억제제 (0) | 2022.07.09 |
상하수도기술사 128회 1교시 기출문제 4. 상수관로 정밀조사 매뉴얼(환경부, ‘20)에 따른 상태평가 시행절차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