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슬러지 종류 및 처리방법
- 수처리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정수처리 슬러지, 하 · 폐수처리 슬러지로 대별 가능
- 즉, 화학적 처리 슬러지와 생물학적 처리 슬러지로 구별하여 성상이 다르고 처리처분 방식 또한 차이 나므로 하수처리 슬러지 최종처분 위주로 설명
답 2. 슬러지 처리단계
- 슬러지의 처리단계는 6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 단위공정은 다음과 같음
구분 | 처리공정 | 공정별 처리법 | 목적 |
1단계 | 전처리 단계 → 농축 | 중력식, 용존공기 부상식, 원심분리 | 고형물의 함량증가, 슬러지의 부피감량 슬러지 개량에 소요되는 약품비용 절감 |
2단계 | 안정화 | 혐기성 소화, 호기성 소화, 화학적 처리 | 유기물질 분해하여 안전화 및 감량화 생물학적, 화학적 안정화 등 |
3단계 | 개량 | 약품개량, 세척, 열처리, 회분 주입 | 입자의 크기를 증대시켜 농축과 탈수가 용이하도록 개량 |
4단계 | 탈수 | 진공여과, 원심분리, 필터여과, 가압여과 | 수분제거(함수율 70~75%), 감용 · 감량 |
5단계 | 중간처리 | 건조 및 소각 · 용융 등 (다단로, 유동상, 로터리킬른 등) |
안정화, 안전화, 감용·감량, 자원화, 에너지화 |
6단계 | 최종처리 | 퇴비화, 연료화, 건설재재 이용 등 | 슬러지의 최종처분 |
답 3. 슬러지 처분방식(슬러지 처리단계 중 6단계)
1) 퇴비화(농지살포)
- 슬러지는 농작물 비료성분에 적합한 질소 등의 유기물과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료 및 토지개량제로서 상당히 이용가치가 높으며, 퇴비화 시 다음 사항을 고려
· 이용자들의 슬러지에 대한 이해
· 운반경로
· 이용상 위해성 고려 : 염도, 질소, 중금속, 병원균 등의 위해성 고려
· 비수기의 저장방법
2) 하수슬러지의 고형 연료화 처리
- 슬러지에 석탄과 같은 탄소계 첨가제를 탈수 슬러지 무게 대비 10 ~ 30% 범위에서 혼합한 후, 건조 성형하여 슬러지를 고형 연료화 제품으로 처리하는 기술
- 에너지 회수를 극대화한 공정으로 최종산물의 활용처 확보 용이
- 최종산물의 성형으로 운송 및 저장 용이
- 재료비(첨가제) 부담 : 처리원가의 60% 이상
- 기존 건조공정보다 복잡하여 시설비 다소 높음
3) 소각 후 건설자재 이용
- 슬러지를 소각한 후 생성되는 Aah(재)는 탈수용의 응집제, 경량골재, 시멘트 원료 등으로 사용가능
- 슬러지를 열처리하여 만든 slag는 골재, 노반재, 되메우기재로 사용 가능
- 주위 환경에 대한 안정성, 시장에서의 유동성, 안정적 공급여부 등 고려할 것
저는 티스토리와 네이버 블로그 2개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다음과 네이버 각 사이트별로 검색이 잘 안되는 것도 있고, 네이버에서는 답안의 원래 작성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이미지로 블로그에 답안 작성 예시를 올리고 있습니다.
다음은 네이버 블로그의 제 글들 입니다.
1차 필기시험 합격수기 입니다.
수질관리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수기 및 공부방법
매일 2~3시간 공부 기본서 준비 기출문제 위주로 답안 작성 저의 기술사 1차 필기시험 합격수기 입니다. 1....
blog.naver.com
2차 면접시험 합격수기 입니다.
수질관리기술사 최종면접 합격수기 및 공부방법
준 비 물 : 필기시험 문제풀이집 혹은 서브 노트 공부시간 : 매일 1시간 중요사항 : 1차 시험 지식수준 유...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