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종류 및 기능
(1) 자연형 시설
① 저류시설
- 강우 유출수를 저류하여 침전 등에 의해 비점오염물질 제거
- 저류지, 연못 등 포함
② 인공습지
-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생 생물에 의한 정화 등, 자연상태의 습지가 보유하고 있는 정화능력을 인위적으로 향상시켜 비점오염물질 제거
③ 침투시설
-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 ․ 흡착작용에 따라 비점오염물질 제거
- 유공포장, 침투조, 침투저류지, 침투도랑 등 포함
④ 식생형 시설
- 토양의 여과 · 흡착 및 식물의 흡착작용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줄임과 동시에, 동식물의 서식공간 제공하며 녹지공간으로 기능하는 시설
- 식생여과대의 식생수로 등 포함
(2) 장치형 시설
① 여과형 시설
- 강우 유출수를 집수조에서 모은 후, 모래 · 토양 등의 여과재 통해 걸러 비점오염물질 제거
② 와류형 시설
- 중앙 회전로의 움직임으로 와류 형성 → 기름, 그리스 등 부유성 물질은 상부로 부상, 침전가능한 토사, 협잡물은 하부로 침전 · 분리하여 비점오염물질 제거
③ 스크린형 시설
- 망의 여과, 분리작용으로 비교적 큰 부유물이나 쓰레기 등을 제거, 주로 전처리에 사용
④ 응집 · 침전처리형 시설
- 응집제를 사용하여 비점오염물질 응집, 침강시설에서 고형물질 침전 · 분리
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 전처리시설에서 토사, 협잡물 제거 후, 미생물에 의해 콜로이드성, 용존성 유기물 제거
답 2. 수질처리용량인 WQv(water quality volume)와 WQF(water quality flow)
(1) Water Quality Volume(WQv)
- 저류시설, 인공습지 등 강우유출수를 초기에 저류하여 처리하는 시설은 수질처리용량(WQv, m3)을 활용하여 시설의 용량 및 규모결정 가능
- WQv = P1 × A × 10-3
․ WQv : 수질처리용량(m3)
․ P1 : 설계강우량으로 환산된 누적유출고(mm)
․ A : 배수면적(m2)
(2) Water Quality Flow(WQF)
- 수질처리유량(WQF)는 강우유출수를 연속하여 처리하는 시설인 장치형 시설과 자연형 시설 중 식생여과대 및 식생수로 등에 적용
- 수질처리유량(WQF)은 합리식을 이용하여 산정하며, 이 때 기준강우강도를 적용하여 수질처리유량 결정
- 기준강우강도는 최근 10년 이상의 시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연간 누적발생빈도 80%에 해당하는 강우강도로 산정
- WQF = C × I × A × 10-3
․ WQF : 수질처리유량(m3/h)
․ C : 처리대상구역의 유출계수
․ I : 기준강우강도(mm/h)
․ A : 처리대상구역의 면적(m2)
답 3. 비점오염 처리시설별 적용규모 설계기준
비점오염저감시설 구분 | 규모 설계기준 | |
저류시설 | 저류지 지하저류조 |
WQv |
인공습지 | 인공습지 | |
침투시설 | 유공포장(투수성 포장) 침투저류지 침투도랑 |
|
식생형 시설 | 식생여과대 식생수로 |
WQF |
식생체류지 식물재배화분 나무여과상자 |
WQv | |
장치형 시설 | 여과형 시설 와류형 시설 스크린형 시설 |
WQF |
응집 ․ 침전 처리형 시설 | - |
답 4. 자연형 시설의 관리 · 운영기준
- 시설의 안정성 확보, 홍수발생 위험이 없는 곳에 배치하는 등 침수방지토록 구조물 배치
- 강우가 설계유량 이상 유입되는 것에 대비하여 우회시설 설치
- 침전물로 인한 토양 공극의 폐쇄가 안 되도록 설계
- 침투시설 하층 토양읠 침투율은 13mm/hr 이상, 동결로 인한 기능저하 회피가능 지역에 설치
- 토양의 공극이 막히지 않도록 시설 내의 침전물은 주기적으로 제거
답 5. 장치형 시설의 관리 · 운영기준
- 여재 교체, 협잡물 제거, 장비 수선 등이 가능한 위치 및 구조로 설계
- 시설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설계
- 시설 구조물의 깊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
- 오염물질 제거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시설과 조합하여 설계 가능
- 무인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단지 등 구역 내 설치되는 시설은 중앙감시 및 관리가 가능토록 감시제어설비를 구성하는 것이 좋음
- 시설의 제거효율,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용 등을 고려하여 저장용량, 체류시간, 여과재 등을 결정
- 여과재 통과수량을 고려하여 여과면적과 여과 깊이 등을 설계
수질관리기술사 1차 시험 준비 및 합격수기 입니다.
수질관리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수기 및 공부방법
매일 2~3시간 공부 기본서 준비 기출문제 위주로 답안 작성 저의 기술사 1차 필기시험 합격수기 입니다. 1....
blog.naver.com
수질관리기술사 2차 면접시험 준비 및 합격수기 입니다.
수질관리기술사 최종면접 합격수기 및 공부방법
준 비 물 : 필기시험 문제풀이집 혹은 서브 노트 공부시간 : 매일 1시간 중요사항 : 1차 시험 지식수준 유...
blog.naver.com
운영 중인 네이버 블로그 입니다. 이미지로 답안작성 형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수질관리기술사 / 상하수도기술사 독학 프로젝트 : 네이버 블로그
수질관리기술사 상하수도 기술사 환경분야 IoT 사례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