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리 122회 2교시 문제 1. 비점오염원의 처리시설로 이용되는 자연형 침투시설의 개요, 장․단점, 주요 설계인자 및 효율적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자연형 침투시설의 개요
- 강우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 ․ 흡착작용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시설
- 유공(有孔)포장, 침투조, 침투저류지, 침투도랑 등 포함
답 2. 자연형 침투시설의 장단점
1) 장점
- 지하수의 함양
- 지하수가 고갈된 지역에서의 지반침하 감소
- 지역식생의 보호 및 강화
- 방류수역으로 운송되는 오염물질 부하 감소
- 우수관거의 규모축소 가능
2) 단점
- 우수유출수 중 침전물 및 기타 고형물에 의해 침투지의 표면이 막히게 되어 문제 유발 가능
- 개인 고유시설은 관리 부재
- 우수 침투시설에 의해 지역적인 지하수위 상승 유발, 시스템 고장 및 근접건물 손상가능
- 문제 발생 시 재설치 비용 고가
- 공장 및 상업지역 사용 경우, 지하수 수질에 악영향
답 3. 설계인자
1) 설계침투량
- 침투시설에 도달하는 지표 유출수의 양은 유역의 규모, 불투수율, 강우 및 융설수의 특성, 정원에서의 살수, 세차 등에 의해 영향
- 우수 유출수 및 융설수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며, 배출시간은 12시간 기준
2)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규모 및 용량
(1) 규모 및 용량 검토
- 초기우수를 충분히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지 검토
- 해당지역의 강우빈도 및 유출수량, 오염도 분석 등을 통해 설계규모 및 용량 결정하였는지 검토
- 해당지역의 강우량을 누적유출고로 환산하여, 최소 5mm 이상의 강우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했는지 검토
(2)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대상 강우유출수량 계산방법
- V(처리대상 강우유출수량, m3) = 5mm × A(처리대상면적, m2) / 1000
(3) 토양층 구성
- 침전물로 인해 토양의 공극이 막히지 않는 구조로 설계
- 침투시설 하층 토양의 침투율 시간당 13mm 이상, 동절기 동결로 인한 기능 저하 회피가능 지역에 설치
(4) 지하수위
- 지하수 오염 방지 위해, 최고 지하수위 또는 기반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최소 1.2m 이상 이격 설치
(5) 우회시설 등 비상시설
- 침투도랑, 침투저류조는 초과유량의 우회시설 설치
- 침투저류조 등은 비상 시 배수를 위해 암거 등 비상 배수시설 설치
답 4. 효율적 관리방안
- 시설의 안정성 확보, 홍수발생 위험이 없는 곳에 배치하는 등 침수방지토록 구조물 배치
- 강우가 설계유량 이상 유입되는 것에 대비하여 우회시설 설치
- 침전물로 인한 토양 공극의 폐쇄가 안 되도록 설계
- 침투시설 하층 토양읠 침투율은 13mm/hr 이상, 동결로 인한 기능저하 회피가능 지역에 설치
- 토양의 공극이 막히지 않도록 시설 내의 침전물은 주기적으로 제거
수질관리 122회 2교시 문제 3. 해수의 담수화 방식을 분류하고, 담수화 시설 계획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0) | 2021.08.17 |
---|---|
수질관리 122회 2교시 문제 2. 온대지방 호수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수온 성층현상 2) 수심에 따른 수질 특성 3) 전도현상 4) 전도현상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0) | 2021.08.17 |
수질관리 122회 1교시 문제 13. 물의 수소결합(Hydrogen Bond)과 특징 (0) | 2021.08.17 |
수질관리 122회 1교시 문제 12.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기준 (0) | 2021.08.16 |
수질관리 122회 1교시 문제 11. 물이용 부담금 (0) | 2021.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