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개요
- 급속여과지에서 역세척 후에 여과를 개시하면 10 ~ 15분간 여과수의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 여과수의 배출, 여과속도의 조절, 응집제 사용 등으로 제어
답 2. 원인
- 역세척 시 여재에 붙어있던 탁질은 여재로부터 떨어져 트러프를 통해 유출
- 하지만 탁질이 100% 배출되지 않고 일부 남아 있으며, 여과 시 여과수를 통해 탁질 누출 → 여과수 수질 악화
답 3. 역세척 후의 여과수의 탁질
답 4. 대책
1) 시동방수(여과수의 배출)
- 역세척 후 여과수가 수질이 악화되는 10 ~ 15분간 역세척 수조로 배수하고, 그 이후의 여과수를 처리수로 소독공정 등 후속처리시설로 이송하는 방법
2) 여과속도의 감소
- 역세척 후 정상적인 여과속도(120 ~ 150m/day)보다 감소한 여과속도로 운전
- 여과지 내의 탁질을 침전시켜, 유출되는 탁질의 양 감소시킴
3) 응집제의 사용
- 역세척이 끝나기 직전, 역세척수에 응집제 주입
→ 여상에 남아있는 부유물질의 응결성 향상 → 탁질이 유출되지 않고 여과지 내 잔존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6. 역삼투에 의한 해수담수화 공법 (0) | 2021.08.31 |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5. 레이놀즈 수(Re), 프루드 수(Fr) (0) | 2021.08.31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3. SUVA 254 (Specific UV Absorbance) (0) | 2021.08.30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2. LI(Langelier Index) (0) | 2021.08.30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1. 암모니아 탈기법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