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역삼투법에 의한 해수담수화시설
1) 도입목적
- 일부 해안지역과 도서지역에서, 계절에 관계없는 안정된 수자원으로 해수를 이용하는 해수담수화시설 도입
→ 갈수기에 대비, 장래 상수의 안정공급에 기여
2) 특징
-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수량 확보 가능
- 댐의 개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건설 가능
- 지표수 취수에 따른 관련기관과의 복잡한 문제발생 적고, 수도사업자가 독자적 도입 가능
- 전기요금, 막 교체비 등의 운영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
- 에너지 절약대책이나 농축해수의 방류로 인한 생태계 영향에 관한 대책 등 환경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고려 필요
3) 해수담수화시설 구성도(역삼투막법)
답 2. 원수설비
- 계획취수량 : 필요한 생산수량에 역삼투 설비의 회수율 및 작업용수량과 손실수량 감안
- 취수설비의 방식과 위치 : 충분한 수량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청정하고 안정된 수질을 얻을 수 있는 지점 선정
- 해서생물의 부착, 모래나 슬러지의 부유 및 침강에 따른 장애, 파랑 등의 영향 고려한 대책 강구
답 3. 전처리설비
- SDI가 4.0이하가 되도록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설비로 함
- 처리방식은 해수원수 중의 탁도 또는 현탁물질의 다소에 따라 적절한 방법 선정
- 응집제를 사용하는 경우, 염화 제2철 사용
- 전처리수조는 여과장치가 세척 중에도 막모듈에 안정적으로 해수 공급을 위해 충분한 용량을 가져야 하며, 외부로부터 오염되지 않는 구조로 함
답 4. 역삼투설비
- 공급수 중의 이물질로 고압펌프와 막모듈이 손상되지 않도록 스트레이너 설치
- 고압펌프의 운전압력은 막모듈의 허용압력, 수온 및 회수율 고려, 가장 경제적이 되도록 설정
- 생산된 물은 pH나 경도가 낮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절한 약품을 주입하거나 다른 육지의 물과 혼합하여 수질 조정
- 막의 손상 등의 고장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어야 하며, 고장난 모듈을 쉽게 교환가능토록 설치
막 5. 방류설비
- 배출수 처리는 배출수 기준 이하가 되도록 pH 조정, 폭기처리, 중화 등의 처리 후, 농축해수와 혼합하여 방류
- 다만 막모듈의 세척폐액은 세척액의 종류에 따라 오염도 높은 경우 하수도 방류 가능
- 방류해수가 방류해역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방류방식과 위치 선정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8. 지하수 오염의 정의와 특성 (0) | 2021.08.31 |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7. 절대투수계수와 지하수 평균선형유속 (0) | 2021.08.31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5. 레이놀즈 수(Re), 프루드 수(Fr) (0) | 2021.08.31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4. 탁도 재유출(Turbidity Spikes) (0) | 2021.08.30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3. SUVA 254 (Specific UV Absorbance)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