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개요 및 정의
- 지하수는 일반적으로 하천수나 호소수에 비해 깨끗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
- 그러나 경제발전과 함께 확산된 현대의 환경오염은 지상오염원의 관리부실로 인해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토양을 경유하여 지하수로 유입시킴으로써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음
- 지하수 오염(groundwater pollution)이란 사업 활동이나 인간 활동에 의해 지하 환경 내로 유입된 오염물질의 농도가 인간의 건강이 주변 환경에 피해를 미치는 경우를 말함
- 지하수 오염물질은 각종 사업 및 인간 활동에 따른 의도적인 행위나 예기치 못한 사고 또는 무관심과 무지 때문에 지하로 유입되어 지하수를 오염
답 2. 주요 지하수 오염원
1) 가정하수 및 정화조, 공장폐수의 관리부실로 인한 토양 유입
2) 매립장 침출수 및 축산폐기물, 쓰레기 관리부실로 인한 토양 유입
3) 농경지 및 도로의 유출수에 의한 지하수 유입
4) 하수관거 · 송유관 등의 관리부실로 인한 지하수 유입
5) 기타 지하수 오염 유발시설은 지하수 오염물질을 생산, 저장, 취급, 운반, 가공 및 처리함으로써 지하수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 장치, 구조물, 장소를 의미
답 3. 지하수 오염의 특성
1) 지표수에 비해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이 느림
- 자연상태 하에서 지하수는 연간 1~5m 정도로 매우 서서히 이동하는 속성
- 지하 저수지 역할을 하는 대수층이 한번 오염되면 오염물질은 대수층 내에서 반영구적으로 잔존하여, 심각하고 지속적인 환경오염 유발
2) 일단 훼손되거나 오염이 진행되면 그 회복이 매우 느림
- DO가 낮아 미생물에 의한 생화학적 자정작용이나 화학적 자정능력이 약함
3) 지하수는 지상오염원과 밀접한 상관관계
- 수심이 얕은 천층수는 지상오염의 관리부실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토양을 경유하여 지하수로 유입됨으로써 쉽게 오염 가능
- 지하수는 자연적으로 오염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대개 지하수 메커니즘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 각종 폐기물 매립지의 비과학적인 입지선정이나 부적절한 폐기물 처리, 잘못된 규제나 일부 개인의 부도덕성으로 발생
4) 오염정도의 측정과 예측 및 감시가 매우 어려움
- 땅 속의 오염은 오염원을 특정하기 어렵고, 특히 지하수는 유동성이 있어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어려워 오염사실을 확인한 후에도 구체적인 대책마련 곤란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10. 민간투자사업의 추진방식 (0) | 2021.09.01 |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9. 물놀이형 수경(水景)시설의 관리기준 (0) | 2021.09.01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7. 절대투수계수와 지하수 평균선형유속 (0) | 2021.08.31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6. 역삼투에 의한 해수담수화 공법 (0) | 2021.08.31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5. 레이놀즈 수(Re), 프루드 수(Fr) (0) | 2021.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