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1. Reynold No.(레이놀드 수)
1) 정의
- 레이놀드 수는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수치로 무차원수
- 유체 흐름상태의 혼합 가능성(층류 난류)을 나타냄
2) 계산
3.) 의미
- Re 수가 크다는 것은 점성력에 비해 관성력이 크다는 의미이므로 유체 혼합 가능성이 높음
- Re 수가 클수록 난류가 되므로 교반조 등에서의 혼합특성은 양호해지고, 관로에서는 마찰손실 계수는 감소하나, 유속의 증가로 관로 손실수두 증가
(1) 개수로
- 층류 : Re < 500
- 난류 : Re > 2,000
(2) 관수로
- 층류 : Re < 2,000
- 난류 : Re > 4,000
답 2. Froude No.
1) 정의
- 수조 깊이에 대한 유속의 수치로 무차원수
- 유체 흐름상태의 안정성을 나타냄
2) 계산
3.) 의미
- Froude 수는 수류의 안정성을 결정하며 값이 클수록 안정성 증가
- F ≥ 10-5 정도면 수류 안정성 양호하나 실제 침전지에서는 F ≥ 10-6 정도로 운영
- 상기 식에서 v가 커질수록 안정성은 증가하나, 유속증가로 침전효율은 감소
- v가 커지면 Re수와 F수도 증가하며, 침전지에서는 F는 증가시키고 Re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폭, 깊이, 길이를 적절히 설계해야 함
답 3. 최적 Reynold No.와 Froude No.
- 이상적인 침전지는 R = 500, F = 10-5 로 계산되나, 실제 이런 침전지는 폭과 수심의 비가 1 : 700 정도로 비현실적
- 침전효율은 수류 자체의 상태 외 밀도류, 단락류, 바람 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침전지 구조와 정류벽, 정류판 등을 적절히 활용해야 함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7. 절대투수계수와 지하수 평균선형유속 (0) | 2021.08.31 |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6. 역삼투에 의한 해수담수화 공법 (0) | 2021.08.31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4. 탁도 재유출(Turbidity Spikes) (0) | 2021.08.30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3. SUVA 254 (Specific UV Absorbance) (0) | 2021.08.30 |
수질관리 125회 1교시 문제 2. LI(Langelier Index) (0) | 2021.08.30 |